라벨이 openAI인 게시물 표시

ChatGPT를 이용한 논문 읽고 쓰기 팁

이미지
ChatGPT를 이용한 논문 읽고 쓰기 팁 ChatGPT를 이용한 논문 읽고 쓰기 온라인 강의에서 나온 토론 내용이라고 하는데, 유익해서 정리해봄. 1. 논문을 쓰는 데 아이디어 수집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하나요? PerplexityAI에서 List 10 ways to use A in B와 같은 형태로 질문을 해야한다. 논문이나 공신력 있는 소스를 레퍼런스 삼아 답을 준다. 2. OpenAI에서 hallucination 같은 부족한 점을 개선시키고 있나요? * 할루시네이션이란 가짜 정보를 진짜처럼 얘기하는 챗봇의 단점을 의미함. OpenAI에서는 이용자들의 피드백을 수집해서 ChatGPT를 튜징하고 있다. 외부 정보와 연결시키거나 실험적으로 LLM의 reflection, agent간의 대화 형태로 더 좋은 대답을 내는 방식 연구 중임 3. 친절하게 질문하면 더 좋은 답변을 해주나요? 그건 상관없다. 질문의 상황보다 키워드의 종류, 질문의 퀄리티가 더 중요하다. Critique this paper(*Critique :  문학 작품이나 정치적 또는 철학적 이론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문학 기술.)라고 적는 것보다 Critique this paper as if you were a highly skeptical reviewer for a scientific journal 이라고 적으면 훨씬 더 유용한 답을 해줌 4. 내가 쓰는 논문 내용을 올리면 ChatGPT가 학습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유출 할 수 있나요? 배경 지식 자체는 모델에 업데이트되지 않고, 대답의 퀄리티를 향상시키는 fine-tuning에는 주기적으로 활용 중이다. 물론 OpenAI직원들은 사람들의 질문 내용을 볼 수 있다. 최근 삼성전자에서 ChatGPT에 회사 기밀 정보를 질문에 올렸다가 난리난 적 있었음 5. introduction, discussion 잘 쓰는 것은 알겠는 데, 데이터를 주면 result도 잘 써주나요? 적은 input으로 chatGPT에게 많은 output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