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서치GPT와 챗GPT의 차이점

네이버 서치GPT와 챗GPT 차이점


네이버가 2023년 상반기 내로 출시하겠다고 선언한 AI챗봇 서치GPT. 과연 OpenAI의 챗GPT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궁금해졌다.

네이버, 카카오의 상황

솔직히 지금 네이버나 카카오의 AI챗봇들은 어떻게든 지금 검색엔진 점유율이라도 지키고자 출시하는 경향이 크다고 본다.

당장은 심리적 장벽때문에 사람들이 네이버나 다음을 계속 쓰겠지만, 점점 일자리나 생활에 AI챗봇이 자리잡으면서 [쓰지 않는 사람은 뒤쳐진 사람]이라는 인식이 생기면 가장 유용하고 유명한 AI챗봇으로 사람이 몰리겠지. 그 때 본인이 쓰던 검색엔진에 AI챗봇으로 가장 눈을 먼저 돌릴 것이고, 그것이 없다면 그제서야 다른 검색엔진으로 눈을 돌릴 것이다.

이런 사람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출시하는 서치GPT는 챗GPT와 큰 차이점이 있다.

네이버, 카카오의 장점

네이버와 다음 카카오의 가장 큰 장점은 뭘까? 쇼핑특화 검색엔진이라는 점이다. 사방에 광고가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이런 수요를 포기하고싶지 않을 것이다.
네이버 서치GPT 특징

검색 결과를 고도화하는 국내 AI 챗봇들

그래서 네이버는 AI 기반 강력한 범용 관련도 순위 매기기 및 응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 유저들은 특정 키워드만 검색하는 것이 아닌 '문장처럼 복잡한 형태의 검색어를 입력하는' 행동을 하고 있다.

이런 수요를 충족시킨 것이 ChatGPT인데, 네이버는 이게 안 된다.

이런 문제를 깨닫고 서치GPT는 위와 같이 문장으로 검색하면 답변과 관련된 문장이 포함된 게시물을 추천해주는 방식으로 검색 결과를 고도화한다. 이 게시물 들어가면 광고 많이 뜬다. 그걸로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말이다.

단점으로는 대화가 안 된다. 실시간 피드백이 안 된다. 챗GPT는 지금까지의 질문과 답변을 기반으로 내가 피드백을 주면서 고쳐나갈 수 있다. 특히 코딩같은 경우 내 목적과 다른 결과물을 줄 경우 '어떤 부분 수정해줘'라고 피드백이 됨.

반면 서치GPT는 오로지 게시물 콘텐츠 질에 의존한다. 내가 원하는 답변을 안 줘도 고쳐달라고 피드백이 안 된다.

반면 챗GPT나 빙의 AI챗봇은 검색결과 특화가 아닌 대화 특화 AI챗봇이다. 위와 같이 답변을 대화형식으로 전달해주고, 관련 출처를 작게 숫자로 표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의 경우 광고 노출이 거의 없다. 광고 수익이 없다는 뜻이다. 대신 더 뛰어난 ChatGPT 최신 버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월 구독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이전 답변에서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실시간으로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해외 논문도 끌어오는 ChatGPT

하지만 이런 검색 방식만 비교할 것이 아니다. 데이터를 어디서 끌어오는지도 차이가 있다. 구글은 논문과 특허 페이지도 따로 있을 정도로 온갖 곳의 데이터 베이스가 있다. 반면 네이버나 다음 카카오같은 국내 검색 엔진은 외국어로 된 정보에 취약하다.

그래서 국내에서 알기 힘든 고급 정보들, 디테일한 정보들을 찾을 때는 ChatGPT와 같은 해외 기업 AI 챗봇이 뛰어날 수 밖에 없다.

사람들은 어떤 AI 챗봇을 사용할까?

한국어여도 충분한 일상적인 질문들은 답변 능력만 봤을 때 챗GPT나 서치GPT나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무료로 검색할 수 있고, 답변도 빠른 서치 GPT가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임.

한 마디로 네이버 쓰던 사람들은 계속 네이버 쓰고, 다음 쓰던 사람들은 계속 다음쓸 것이란 말이다. 심리적 접근성이 너무 장점이다.

반면 외국의 방대한 지식이 필요한 부분들 있잖아. 코딩, 과학적 지식, 논문, 특허 등 고급 정보, 어려운 정보를 찾고 싶거나 해외 검색 엔진을 원래 많이 썼던 분들은 챗 GPT를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당연히 정보를 찾는 데는 대화가 좀 더 편하기 때문에 대화형 챗GPT가 점유율을 더 끌어오지 않을깨 생각하긴함...

댓글